무지랭이 탈출러가 되고싶은 회사원
User Experience Research Methods 본문
UX 연구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.
방법론이 엄~청 많은데, 어떨 때 어떤 방법론을 사용해야 하는지
NN Group에서 잘 정리가 된 article을 주제로 다룰 것이다.
https://www.nngroup.com/articles/guide-ux-research-methods/
사실 많은 UX 연구 방법 중에서도 매일 쓰던 것만 사용한다는 단점이 있긴 하지만..
그래도 20개의 인기 있는 방법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.
1. 3 Dimentions Explained
3가지 측면으로 표를 그렸다고 하는데, 기준되는 축은 다음과 같다.
1) Attitudinal (태도) vs. Behavioral (행동)
2) Qualitative (정성적=질적) vs. Quantitative (정량적=양적)
3) Context of Product Use (제품 사용의 맥락)
언제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 게 좋을지는 NN그룹에서 제공하는 해당 표를 보면 훨씬 이해하기 쉽다.
1) Attitudinal (태도) vs. Behavioral (행동)
Attitudinal (태도) = What People do → 사람들이 무엇을 하는 것
Behavioral (행동) = What People say → 사람들이 무엇을 말하는 것
2) Qualitative (정성적=질적) vs. Quantitative (정량적=양적)
Qualitative (정성적=질적): 행동이나 태도를 직접 관찰하거나 듣는 것을 기반으로 행동이나 태도에 대한 데이터를 생성한다.
ex) 현장 연구 및 사용성 테스트에서 연구원은 사람들이 필요를 충족하거나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기술을 어떻게 사용하는지(또는 사용하지 않는지) 직접 관찰 → 관찰을 통해 질문을 하거나 행동을 조사하거나 연구 목표를 더 잘 달성하기 위해 연구 프로토콜을 조정할 수도 있다.
Quantitative (정량적=양적): 해당 행동이나 태도에 대한 데이터를 측정이나 설문조사와 같은 도구를 통해 간접적으로 수집한다.
ex) 작업 시간, 성공, 사용자가 주어진 UI 요소를 클릭했는지 여부 또는 객관식 질문에 대한 특정 답변을 선택했는지 여부가 포함 → 설문 조사
3) Context of Product Use (제품 사용의 맥락)
위 url에서는 타이틀만 나오고 자세히 다루진 않았지만 다른 article에서 잘 다루고 있어 함께 이야기하려 한다.
https://www.nngroup.com/articles/which-ux-research-methods/
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방법과 관련이 있다.
보통 4가지의 방법으로 설명을 하는데,
2. 제품 개발 단계 별 연구 방법론
아까 말한 20개의 연구방법론을 전략/디자인/런칭의 기점에서 설명하고 단계에 맞는 방법론을 매칭 시켜놓았다.
이렇게 단계적으로 보니 이해가 더 잘 가는 것 같다.
3. 20 UX Methods in Brief
위에서 계속 언급되었던 UX 방법론들에 대해 20개를 요약시켜놓은 부분이다
20개 중에서 좀 나에게 생소하게 다가왔던 내용을 포스팅해보았다.
1) Remote Moderated Testing : 원격조정 테스트
참가자를 실시간으로 스크린 공유를 통해 관찰하는 테스트이다.
진행자는 사용자가 제품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보고, 본인들의 생각을 큰소리로 말하고, 순간적인 질문을 함으로써 더 현장감 있는 깊이 조사가 가능하다.
2) Un Moderated Testing : 비진행형 테스트
참가자가 진행자의 안내 없이 알아서 작업을 완료하는 테스트이다. 참가자가 테스트를 진행할 장소/기간을 직접 결정하고, 세션을 기록한다.
3) Contextual Inquiry : 에스노그래피 테스트
각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는 꽤 탄력적인 조사방법이며, 진행자가 사용자 환경에 들어가서 사용자 행동을 관찰하고, 공감 거리를 찾아 숨겨진 니즈를 찾아낸다.
4) Participatory Design: 참여형 디자인
사용할 수 있는 모든 이해관계자를 실제 디자인 설계 프로세스에 참여토록 하여 추후 이슈가 크게 발생하지 않게 사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다.
5) Concept Testing : 컨셉 테스트
제품을 시장에 출시하기 전,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용도를 평가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한다.
설문조사 방법이 4가지로 쪼개지는데, 아래 4가지에서도 어떤 게 본 컨셉과 잘 맞는지 고려한 후 진행되어야 한다.
1) Comparative (비교)
- 2개 이상 개념이 참가자에게 주어지고. 뭐가 더 좋은지 비교하게 함
2) Monadic (모나딕 테스트) :
- 여러 그룹으로 나뉘고, 각 컨텍스트를 다르게 제시 한 후에 설문조사를 진행
- 설문조사 2회 진행 (각 그룹마다 질문지가 다르고, 후속 질문은 보통 동일하게 진행함 )
→ 단, 설문조사는 그룹별 하나의 개념을 다루어 진행되기 때문에 길게 하지 않음 (대신 비용이 많이 듦)
3) Sequential Monadic (순차 모나딕 테스트) :
- 모나딕 테스트와 동일하게 여러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하나, 컨텍스트를 다르게 가져가지 않음
- 동일한 질문을 여러 그룹에 전달하고, 질문 순서는 편향을 지양하기 위해 무작위로 지정되어 진행함
4) Proto-Monadic (프로토 모나딕 테스트) :
- 비교 테스트와 순차 모나딕 테스트를 함께 진행하며, 참여자는 여러 개념을 평가하고, 어떤 것이 더 좋은 지 선택하도록 하는 테스트 방법
6) Desirability Studies : 선호도 테스트
사용자에게 해당 디자인이 의도하고자 하는 바가 잘 나타나는지 여부에 대해 테스트하는 방법이다.
※ 선호도 테스트와 A/B테스트는 다르다!
선호도 테스트는 목업단계 즉, 초기 단계에서 수행되고, A/B 테스트는 디자인이 최종 단계에 이를 때 진행되는 테스트이므로 혼동하지 말자.
'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bout Face 3 _Modeling Users : Personas and Goals (0) | 2022.08.15 |
---|---|
Information Architecture [Chapter 2: Defining Information Architecture] 를 읽다 (0) | 2022.08.15 |
Hats (Richard Saul Wurman) 를 읽다. (0) | 2022.08.08 |